안녕하십니까. 일상 생활 속 정보를 공유하는 알씨고 입니다.
2021년 1월 1일부터는 신용등급이 아닌 신용점수로 신용을 확인하는 '신용점수제'로 변경되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전에 대출을 받고자 할때는 '신용등급'으로 거절 되던것이 '신용점수제'에서는 받을 수 있는 폭도 넓어지고
자신의 신용도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등급제에서 신용점수제로 변경되면서 달라지는것은 무엇인지? 평가되는 점수 기준과 자신에 신용점수를 카카오톡, 토스로 조회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신용점수제란?
간단하게 말하면 개인신용 평가시 신용등급을 산정하지 않고 신용점수만으로 산정하는 방식입니다.
이전에는 다수에 금융회사가 개인신용평가회사(Credit Bureau)에서 제공하는 신용등급을 여신전략에 활용하였는데요, 기존 신용등급제는 그동안 획일적이라는 논란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신용점수가 비슷함에도 등급으로 나눠져서 대출심사시 불이익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소위 '대출 문턱 효과' 라고도 하는데요. 작은 점수 차로 신용등급이 달라져 불이익을 보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길동'은 신용점수 700점 4등급으로 대출을 받았는데, '꺽정'이는 신용점수 695점 5등급으로 대출심사가 거절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2021년부터는 신용점수제가 전면 도입됨에 따라, 개인신용평가회사(Credit Bureau)는 개인의 신용점수만 제공하고, 금융회사는 이를 토대로 자체적인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하게 됩니다.
2) 신용점수제 어떻게 달라질까요?
① 금융소비자는 개인신용평가회사(Credit Bureau)가 제공하는 신용평점과 누적순위, 맞춤형 신용관리 팀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신용도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② 금융회사는 세분화된 대출심사 기준을 도입하고 신용등급에 따라 획일적으로 대출이 거절되지 않고, 저신용 금융소비자의 금융접근성이 나아집니다.
③ 신용카드를 발급할때, 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할때도 개인신용평점 기준으로 변경됩니다.
분류 | 전환전(~2020.12.31) | 전환 후(2021.01.01) |
신용카드발급기준 | 6등급 이상 | (NICE) 680점 이상 or (KCB) 576점 이상 *개인신용평점 상위 93% 또는 장기연체 가능성 0.65% 이하 |
서민금융상품(햇살론 등) 지원대상 |
6등급 이하 | (NICE) 744점 이하 or (KCB) 700점 이하 *개인신용평점 하위 20% |
중금리 대출시 신용공유 한도 우대기준 |
4등급 이하 | (NICE) 859점 이하 or (KCB) 820점 이하 *개인신용평점 하위 50% |
구속성 영업행위 해당기준 |
7등급 이하 | (NICE) 724점 이하 or (KCB) 655점 이하 *개인신용평점 하위 10% |
-개인신용평가회사(Credit Bureau)의 새로운 신용평가모델에 따른 (NICE:2020년 8월, KCB : 2020년 4월 변경) 점수
-기준 점수는 매년 4월 1일 전년도 전 국문의 신용점수 분포를 통해 산정
3) 신용점수제 무료조회 방법
신용점수 조회 방법은 NICE 평가정보 나이스지키미 홈페이지, KCB 올크레딧(All Credit) 홈페이지, 카카오톡, 토스 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그 중 접근성이 좋은 '카카오톡'과 '토스'에서 무료로 조회하는 방법을 차례데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톡 신용점수 확인 방법>
① 카카오톡 실행 후 맨 아래 오른쪽 더보기(점3개) 버튼을 클릭 합니다.
② Pay(카카오페이) 버튼을 클릭 합니다.
③ 홈 화면에서 '신용조회' 버튼을 클릭 합니다.
④ 서비스동의를 하시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내 신용점수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토스 신용점수 확인 방법>
① 토스 실행 후 맨 아래 전체 버튼을 클릭 합니다.
② 아래로 내려보시면 신용 카테고리에 '신용관리'를 클릭 합니다.
③ 비밀번호을 입력하면 '내 신용점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이상 포스팅을 마칩니다. 일상에 도움이 되는 정보였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일상 속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생일 비공개 및 공개 설정 방법 (0) | 2021.01.21 |
---|---|
유튜브 음원추출 하는 방법 및 저작권은? (0) | 2021.01.20 |
고용노동부 퇴직금 미지급 신고 방법 및 지급 기한 (0) | 2021.01.18 |
QR코드스캔 기본 카메라, 네이버, 카카오톡 실행 방법 (0) | 2021.01.17 |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및 신청방법 (0) | 2021.01.15 |
댓글